신효승 박사 홈페이지
  • Home
  • About Me
  • 혈관종
    • 혈관종이란?
    • 혈관종에 대한 오해
    • 혈관종의 원인
    • 혈관종은 치료하지 않아도 되는가?
    • PHACE 증후군
    • 호흡곤란 유발 혈관종
    • 눈 주위 혈관종
    • 허리에 위치한 혈관종
    • 다발성 혈관종
    • 혈관종 치료 - 먹는 약
    • 혈관종의 레이저 치료
    • 혈관종 치료 - 바르는 약
    • 혈관종의 주사 치료
    • 혈관종에 생기는 피부 궤양
    • 혈관종 흉터 치료
    • 선천성 혈관종
    • Kasabach Merritt 현상
    • 화농성 육아종
  • 화염상모반, 혈관기형
    • 화염상모반이란?
    • 화염상모반의 특징
    • 스터지 웨버 증후군
    • 클리펠 트레노네이 증후군
    • 화염상모반의 얼굴 비대칭
    • 전신에 분포한 화염상모반, 색소혈관모반증
    • 화염상모반의 유전
    • 혈관종,화염상모반 레이저 치료 시기
    • 화염상모반 치료에 적절한 레이저
    • 화염상모반의 레이저 치료 방법 1
    • 화염상모반의 레이저 치료 방법 2
    • 레이저 치료로 ​좋아지지 않는 화염상모반의 경우
    • 화염상모반 레이저 치료 한계 극복 방법
    • 레이저 치료 시 국소 마취
    • 레이저 수면 마취
    • 선천성 모세혈관확장성 대리석양 피부증
    • 체리혈관종, 거미혈관종,​ 혈관각화종
    • 동정맥 기형
    • 정맥 기형
    • 정맥호
    • 림프관기형
    • 사행성 혈관종, 편측성 모반성 모세혈관확장증
  • 켈로이드 흉터
    • 흉터가 생기는 이유 - 진화적 관점
    • 켈로이드와 흉터의 특징과 차이점
    • 흉터, 켈로이드가 생기는 이유 ​- 의학적 관점
    • 흉터, 켈로이드를 예방하는 ​상처 관리법 (1) 소독, 드레싱
    • 흉터, 켈로이드를 예방하는 상처 관리법 (2) 상처는 물에 닿으면 안되나요?
    • 흉터, 켈로이드를 예방하는 상처 관리법 (3) 기타 주의사항
    • 흉터 연고, 겔 및 시트의 사용에 관한 고찰
    • 켈로이드, 흉터의 레이저 치료 시기에 관한 고찰
    • 수술로 켈로이드를 한번에 치료하지 못하는 이유
    • 켈로이드, 흉터의 레이저 치료 고찰
  • 결절성 경화증
    • 결절성 경화증이란?
    • 혈관섬유종
    • 다른 피부 증상 및 피부 이외 증상
    • 결절성 경화증의 진단
    • 결절성 경화증의 유전
    • 결절성 경화증의 치료
    • 혈관섬유종의 레이저 박피 치료
    • 혈관섬유종 재발을 막는 혈관 레이저 치료
  • 안면 홍조
    • 안면홍조란?
    • 안면홍조의 원인(1) - 열, 감정, 폐경
    • 안면홍조의 원인(2) -음식,약
    • 안면홍조의 원인(3) -내과질환
    • 안면홍조의 원인(4) -주사(rosacea)
    • 주사(rosacea)와 감별이 필요한 피부 질환
    • 주사(ROSACEA)의 원인
    • 주사(rosacea),안면홍조의 주의 사항
    • 안면홍조의 치료 - part 1. 약
    • 안면홍조의 치료 - part 2. 혈관레이저
    • 안면홍조의 치료 - part 3. 레이저 이외의 치료
    • 딸기코 (주사비, rhinophyma)의 치료
  • 일정 근황
  • Contact

결절성 경화증 (Tuberous sclerosis)

결절성 경화증의 다른 피부 증상
및 
피부 이외 증상

홈페이지의 모든 글과 사진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저색소반

방추 모양의 길쭉한 흰색 점 형태입니다. 대부분 태어날 때부터 있거나 생후 수년 이내에 생겨나기 시작합니다. 결절성 경화증 환자의 90% 이상에서 관찰되기 때문에 세 개 이상 있을 때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멜라닌 색소가 부족하므로 햇빛을 쬐면 화상을 쉽게 입을 수 있습니다. 어른이 되면서 점차 옅어지거나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흔히 알려져 있는 저색소 피부 질환인 백반증이나 마른버짐 (백색비강진) 등과 감별이 필요합니다. 

간혹 2-3mm 직경의 작은 저색소반이 여러 개 분포하는 형태를 띄기도 하는데 이를 색종이 조각 피부 병변 (confetti skin lesions) 이라고 부릅니다.
그림
결절성 경화증의 저색소반 ⓒ김영걸 MD, PhD

샤그린반 (Shagreen patch)

등의 아래쪽이나 엉덩이에 두꺼운 가죽처럼 보이는 편평한 피부 병변으로 결절성 경화증 환자의 약 절반에서 관찰됩니다. 아기 때에도 관찰할 수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더 뚜렷해집니다.
그림
등에 생긴 샤그린반
만 2~5세에 처음 나타나기 시작해 점점 크기와 개수가 늘어납니다. 처음 편평하고 붉은 색의 반점에서 시작해서 점점 두꺼워집니다. 청소년기를 지나면 크기나 개수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고 지속됩니다.

뇌의 과오종

결절성 경화증을 가진 어린이에서 MRI 검사를 하였을 때 약 90%에서 뇌의 과오종이 관찰됩니다. 
피질 결절 (cortical tuber), 뇌실막밑 결절 (subependymal nodule), 뇌실막밑 거대세포종양 (subependymal giant cell tumor) 등이 결절성 경화증에서 나타날 수 있는 대표적인 뇌의 과오종입니다.
​
상당수는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뇌전증 (epilepsy), 인지 결손 (cognitive deficit), 학습 장애, 자폐증, 행동 장애 등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특히 발작, 경련이라고도 불리는 뇌전증이 가장 흔하고 중요한 문제로 결절성 경화증 환자의 36~69 % 가량에서 동반됩니다. 뇌전증은 보통 생후 2개월 이내에 처음 나타나고 대부분 늦어도 만 2세 안에 나타납니다. 

그림
뇌의 과오종 MRI 영상
​ (By Hellerhoff (Own work) [CC BY-SA 3.0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 via Wikimedia Commons)

심장 횡문근종 

보통 아기 때 (또는 태아 때) 생겼다가 특별한 증상 없이 저절로 사라지기도 하지만 간혹 심부전이나 부정맥을 유발합니다.

신장 혈관근지방종 

10세 이후 결절성 경화증 환자의 약 75%에서 동반되며 신기능을 떨어뜨립니다.​

폐림프혈관평활근종증

20~30대에 생길 수 있으며 성인 결절성 경화증 환자의 약 34%에서 관찰됩니다. 

눈의 과오종

약 44~87%의 경우 망막 등 눈에도 과오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치아 상아질 오목 (dental enamel pits)

이의 표면에 작게 파인 홈이 여러 개 관찰됩니다. 거의 모든 결절성 경화증 환자의 이 관찰됩니다. 유치와 영구치 모두에서 관찰될 수 있습니다. 


신효승, M.D., Ph.D.
피부과 전문의, 의학박사 

마포공덕 에스앤유 피부과
​
홈페이지 www.laserdoctor.co.kr
​
블로그 reslab.blog.me
병원 www.allskin.co.kr
온라인 상담 www.allskin.co.kr/community/consult

NEXT
결절성 경화증의 진단
그림
Powered by Create your own unique website with customizable templates.
  • Home
  • About Me
  • 혈관종
    • 혈관종이란?
    • 혈관종에 대한 오해
    • 혈관종의 원인
    • 혈관종은 치료하지 않아도 되는가?
    • PHACE 증후군
    • 호흡곤란 유발 혈관종
    • 눈 주위 혈관종
    • 허리에 위치한 혈관종
    • 다발성 혈관종
    • 혈관종 치료 - 먹는 약
    • 혈관종의 레이저 치료
    • 혈관종 치료 - 바르는 약
    • 혈관종의 주사 치료
    • 혈관종에 생기는 피부 궤양
    • 혈관종 흉터 치료
    • 선천성 혈관종
    • Kasabach Merritt 현상
    • 화농성 육아종
  • 화염상모반, 혈관기형
    • 화염상모반이란?
    • 화염상모반의 특징
    • 스터지 웨버 증후군
    • 클리펠 트레노네이 증후군
    • 화염상모반의 얼굴 비대칭
    • 전신에 분포한 화염상모반, 색소혈관모반증
    • 화염상모반의 유전
    • 혈관종,화염상모반 레이저 치료 시기
    • 화염상모반 치료에 적절한 레이저
    • 화염상모반의 레이저 치료 방법 1
    • 화염상모반의 레이저 치료 방법 2
    • 레이저 치료로 ​좋아지지 않는 화염상모반의 경우
    • 화염상모반 레이저 치료 한계 극복 방법
    • 레이저 치료 시 국소 마취
    • 레이저 수면 마취
    • 선천성 모세혈관확장성 대리석양 피부증
    • 체리혈관종, 거미혈관종,​ 혈관각화종
    • 동정맥 기형
    • 정맥 기형
    • 정맥호
    • 림프관기형
    • 사행성 혈관종, 편측성 모반성 모세혈관확장증
  • 켈로이드 흉터
    • 흉터가 생기는 이유 - 진화적 관점
    • 켈로이드와 흉터의 특징과 차이점
    • 흉터, 켈로이드가 생기는 이유 ​- 의학적 관점
    • 흉터, 켈로이드를 예방하는 ​상처 관리법 (1) 소독, 드레싱
    • 흉터, 켈로이드를 예방하는 상처 관리법 (2) 상처는 물에 닿으면 안되나요?
    • 흉터, 켈로이드를 예방하는 상처 관리법 (3) 기타 주의사항
    • 흉터 연고, 겔 및 시트의 사용에 관한 고찰
    • 켈로이드, 흉터의 레이저 치료 시기에 관한 고찰
    • 수술로 켈로이드를 한번에 치료하지 못하는 이유
    • 켈로이드, 흉터의 레이저 치료 고찰
  • 결절성 경화증
    • 결절성 경화증이란?
    • 혈관섬유종
    • 다른 피부 증상 및 피부 이외 증상
    • 결절성 경화증의 진단
    • 결절성 경화증의 유전
    • 결절성 경화증의 치료
    • 혈관섬유종의 레이저 박피 치료
    • 혈관섬유종 재발을 막는 혈관 레이저 치료
  • 안면 홍조
    • 안면홍조란?
    • 안면홍조의 원인(1) - 열, 감정, 폐경
    • 안면홍조의 원인(2) -음식,약
    • 안면홍조의 원인(3) -내과질환
    • 안면홍조의 원인(4) -주사(rosacea)
    • 주사(rosacea)와 감별이 필요한 피부 질환
    • 주사(ROSACEA)의 원인
    • 주사(rosacea),안면홍조의 주의 사항
    • 안면홍조의 치료 - part 1. 약
    • 안면홍조의 치료 - part 2. 혈관레이저
    • 안면홍조의 치료 - part 3. 레이저 이외의 치료
    • 딸기코 (주사비, rhinophyma)의 치료
  • 일정 근황
  • Contact